본문 바로가기

말차3

차 끓이는 법 차 끓이는 법 1) 끓는 물에 넣어 끓여 마시기 발효잎차아 떡차는 대개 물에 넣어 끓여 마신다. 조선 중엽 홍만순이 쓴 '산림경제'의 에는 차는 창이 지나치게 끓이지 않아야 한다. 많이 끓으면 너무 쓰다. 끓는 소리가 산골 물소리 솔바람소리 같아야 한다고 했다. 급하게 거르는 것은 좋지 않으나 별(부리병:탕관)을 옮겨 불을 제거하고, 끓는 것이 젹어져서 멈춘뒤에 걸러야만 절도에 맞다고 했다. 차를 달이려면 반드시 불꽃이 있는 숯불을 써야 한다. 탕이 세차에 끓으면 냉수를 조금 붓고 다시 끓으며 또 냉수를 넣는다. 세 차례 하면 빛과 맛이 모두 좋아진다. 여기서 탕은 모두 다탕을 뜻한다. 차를 물에 끓여 마신 내용으로는 조선 초엽 이목이 쓴 '다부'에서 알 수 있다.. 끓는 소리는 가을 서릿바람에 잣나무가.. 2019. 5. 5.
말차와 차의 구분 말차 차를 곱게 가루낸 말차는 차사발에 넣어 점다하여 다유로 마신다. 고급덩이차나 고급잎차를 가루내어 다유로 마시던 말차는 고려시대에는 성하였으나 조선시대에은 흔하지 않았다. 1692년 네덜란드의 니코라스 위트센이 간행한 「조선국기」에 「조선땅에는 많은 차가 생산되고 있다.」고 한 것이나, 허균의 글에 「융단을 새로 쪼개 좁쌀처럼 벌려놓으니, 품질이 좋아서 밀운:두터운 구름, 차의 거품)과 같지 아니한다」 라고 하여 융단이란 덩이차를 가루내어 점다하여 마셨음이 짐작된다. 초의도 「봉단」이란 유단차를 만들어 맷돌에 갈았다했고 선비들 간에 말차를 가끔 마신 내용을 볼 수 있다. 정약용은 가루차를 만드는 다연:(차맷돌)을 사용했다. 다산의 친구인 윤외심은 다산과 말차를 마시며 쓴 시에 "차를 맷돌에 가는 법은.. 2019. 5. 3.
다구의 특징과 종류 다구의 특징과 종류 고려시대에는 팔관회, 연등회, 공거재, 기우제 및 왕과 신하의 회의, 연회, 사신맞이, 책봉의식을 포함한 왕실의 행사 등의 중대한 국가행사 땡 의례로서 차를 올리거나 마시었으므로 그에 따르는 제반 다구는 어떤 그릇보다고 중요하였다. 고려시대의 다구는 최고의 품질과 멋을 지녔고 귀족적이며 몹시 아름다원ㅆ다. 중국의 모방도 없지 않았으나 다구의 생김새와 만드는 기법이 매우 독창적이었다. 1123년에 송도를 다녀간 송나라의 서긍이 쓴 [고려도경]에는 고려인들은 차마시기를 매우 좋아하여 다구를 더욱 잘 만드는데 금꽃이 있는 검은잔, 청자 작은 찻잔, 은하로, 세발차솥 등이다. 라고 한 것으로 보아 화려하고 품격이 가주어진 차도구를 썼으며 아울러 찻그릇을 마늗는 기술이 고려 도자기 발달에 촉매.. 2019. 4. 30.